#Career

이력서(履歴書)와 직무경력서(職務経歴書)의 차이점

일본에서는 일반적인 CV와 달리 입사 지원 시 이력서(履歴書)와 직무경력서(職務経歴書) 두 가지 서류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두 서류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두 서류의 올바른 작성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November 6, 202510 min read
이력서(履歴書)와 직무경력서(職務経歴書)의 차이점

이력서(履歴書)와 직무경력서(職務経歴書)의 차이점

일본에서 취업 활동을 할 때 많은 기업에서 이력서(履歴書)와 직무경력서(職務経歴書) 두 가지 서류 제출을 요구합니다. 해외에서는 일반적으로 CV나 Resume 한 종류로 충분하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에 당황하는 외국인 엔지니어가 적지 않습니다. 사실 이 두 서류는 각각 명확한 역할이 있으며,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채용 성공의 열쇠입니다.

이력서란: 기본 프로필

이력서는 기본적인 개인정보와 학력·경력을 시간순으로 기재하는 문서입니다. 일본에서는 후생노동성이 권장하는 양식이 있으며, 많은 기업이 이 형식의 제출을 요구합니다.

이력서에 기재하는 주요 내용:

  • 성명,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 등의 기본 정보
  • 얼굴 사진 (머리 끝부터 가슴 윗부분까지 나오는 단순한 사진)
  • 학력(고등학교 졸업 이후부터 기재)
  • 경력(입사·퇴사 연월을 시간순으로)
  • 면허·자격(취득 연월일 포함)
  • 지원 동기(200~300자 정도) *양식에 따라 없는 경우도 있음
  • 자기 PR(150~200자 정도) *양식에 따라 없는 경우도 있음
  • 본인 희망 기재란 *양식에 따라 없는 경우도 있음

중요한 포인트는 이력서는 "사실만을 정확하게 기재"하는 것입니다. 경력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하는 곳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하세요. "지원 동기"나 "자기 PR" 항목도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습니다. 직무경력서를 함께 제출하는 경우 이 란은 공란으로 두어도 문제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란으로 두는 것이 부담스러운 경우 "직무경력서 참조"라는 문구만 추가해도 대부분 문제없습니다.

학력에 관하여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부터 시간순으로 기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시:

  • 2015년 3월: XX 고등학교 졸업
  • 2015년 4월: XX 대학교 XX 학부 입학
  • 2019년 3월: XX 대학교 XX 학부 졸업

경력(입사·퇴사 연월을 시간순으로)

경력도 마찬가지로 시간순으로 기재합니다.

예시:

  • 2019년 4월: xxx, Inc 입사
  • 2022년 10월: xxx, Inc 퇴사
  • 2022년 11월: xxx, Inc 입사

또한 이직 횟수가 많은 경우 경력란에 다 들어가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퇴사일을 기입하지 않고 입사일만 기입하도록 합니다.

면허·자격(취득 연월일 포함)

IT 관련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면 이 란에 기입합니다. 예를 들어, 일본어능력시험(JLPT) 급수를 이 란에 기재하면 일본어 실력을 어필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본인 희망 기재란

취업에 있어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경우 이 란에 기입합니다.

예시:

  • 신체적 장애가 있어 특정 지원이 필요함
  • 풀타임 근무가 어려움
  • 원격지에서 근무하므로 완전 재택근무를 희망함
  • 기타 등등

필요하지 않다면 공란으로 두어도 문제없습니다.

직무경력서란: 역량과 실적을 보여주는 프레젠테이션 자료

직무경력서는 지금까지의 직무 경험을 상세히 설명하고 구체적인 역량과 실적을 어필하는 서류입니다. 이력서가 "무엇을 해왔는가"를 보여준다면, 직무경력서는 "어떻게 성과를 냈는가"를 보여줍니다.

직무경력서에 기재하는 주요 내용:

  • 직무 요약(경력 개요를 3~5줄로)
  • 직무 경력 상세(프로젝트별로 기재)
  • 사용 기술 스택(언어, 프레임워크, 도구)
  • 구체적인 성과(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수치화)
  • 자기 PR(상세 버전, 300~500자)

엔지니어의 경우 특히 중요한 것은 기술적 디테일입니다.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담당"이 아니라 "React + TypeScript + Next.js를 사용하여 월간 100만 PV의 이커머스 사이트 프론트엔드 개발을 리드. 페이지 로딩 속도를 40% 개선하여 전환율이 15% 향상"과 같은 구체성이 요구됩니다. 이 점은 일반적인 CV나 Resume와 다르지 않습니다.

두 서류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

이력서는 "공식 기록"이고, 직무경력서는 "영업 자료"라는 위치입니다. 이력서에서는 거짓이나 과장이 엄격히 금지되지만, 직무경력서에서는 (사실의 범위 내에서) 자신의 강점을 최대한 어필하는 것이 기대됩니다.

분량의 차이도 현저합니다. 이력서는 A4 용지 1장에 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직무경력서는 경력 연수에 따라 2~5장 정도가 되기도 합니다. 특히 시니어 엔지니어의 경우 상세한 프로젝트 경력 기재가 중요합니다.

외국인 엔지니어가 주의해야 할 포인트

일본의 이력서에는 "얼굴 사진" 첨부가 일반적입니다. 3×4cm 크기의 컬러 증명사진을 준비하고, 정장 착용 후 촬영하는 것이 무난합니다. 또한 이력서를 무리하게 일본어로 작성할 필요는 없지만, 주소는 일본어로 쓰는 것이 좋습니다.

이력서·직무경력서는 어디서 구할 수 있나?

이력서 입수 방법

일본에서는 이력서를 다양한 곳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구하는 경우:

  • 후생노동성 이력서 양식: 후생노동성 웹사이트에서 무료 다운로드 가능
  • 취업 사이트: 리쿠나비 NEXT, doda 등의 취업 사이트에서 PDF·Excel 양식을 무료 제공
  • 편의점 인쇄: 네트워크 프린트 서비스를 이용하여 편의점에서 인쇄(1장당 20~60엔 정도)

결론·정리

이력서와 직무경력서는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진 중요한 서류입니다. 이력서에서는 정확한 사실을 간결하게, 직무경력서에서는 구체적인 성과와 역량을 상세히 기재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입니다. 두 서류를 정성껏 준비하면 일본 기업 지원이 훨씬 수월해질 것입니다. 먼저 이력서 양식을 다운로드하여 자신의 경력을 정리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나요?

일본에서 엔지니어로 일하기 위한 이메일 매거진과 유용한 정보를 받아보세요.